티스토리 뷰

 

 

백두산 호랑이도 아니고, 지리산 반달곰도 아니고 담비라니.. 조금 황당하긴하지만 귀엽게 생겼군. 몸집은 작아도 협동하여 사냥한다고 한다.

- jamesku -

 

 

한반도 기준(군사분계선 이남 대한민국)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는 ‘담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4년간 원격무선추적, 무인센서카메라, 먹이분석 등을 활용한 담비(멸종위기Ⅱ급) 연구결과 담비는 대형동물을 연중 사냥하는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이자 넓은 행동권을 지닌 ‘우산종’으로서 생태계 보전에 활용 가치가 큰 동물임이 밝혀졌다.

‘우산종’은 행동권이 큰 동물의 서식지 보전이 공간 내 다른 종들을 함께 보호해 생물다양성이 유지된다는 개념으로 미국 옐로우스톤의 불곰, 인도와 러시아의 호랑이 등이 그 사례로 알려져 있다.

또 배설물 414점을 통해 먹이분석 결과, 포유류의 경우 농민과 마찰을 빚는 주요 동물들의 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멧돼지와 고라니 등의 대형포유류가 담비 먹이의 8.5%를 차지하며 이는 담비 1무리(3마리)가 연간 고라니(성체) 또는 멧돼지(새끼) 9마리를 사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일 종으로는 잣, 호두, 밤 등 고소득 견과류에 피해를 주는 청설모가 먹이의 5.7%로 가장 많았고, 이는 담비 1무리(3마리)가 연중 75마리의 청설모를 사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양봉에 피해를 많이 주는 말벌이 전체 먹이의 2.4%를 차지했다.

또 담비는 멧돼지(5.1㎢), 삵(3.7㎢), 오소리(1.2㎢), 너구리(0.8㎢) 등의 행동권에 비해 10~20배 가량 컸으며, 어미로부터 독립한 새끼는 40km 이상 멀리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원은 이를 통해 보호지역의 설정, 생태축 복원, 생태통로 조성 등에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보여진다고 판단했다.

담비의 경우 또 활동의 92.7%가 낮 시간인 6시~19시 사이에 이뤄지며 이동과 영역표시는 능선부의 오솔길을 이용해 다른 야생동물 보다 등산객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이러한 활동특성을 이용하면 보호지역 내의 탐방객과 탐방로의 적정 인원수, 개방 기간 등의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가 가능할 전망이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